주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eg(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글자크기

세액공제

근로소득세액공제

  • 거주자의 근로소득에 대한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
    거주자의 근로소득에 대한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 - 산출세액, 공제세액 포함
    산출세액 공제세액
    130만원 이하 산출세액의 산출세액의 55%
    130만원 초과 71만5천원+130만원 초과금액의 30%
  • 세액공제 한도(50만원∼74만원)
    세액공제 한도(50만원∼74만원) - 총급여액, 근로소득세액공제 한도 포함
    총급여액 근로소득세액공제 한도
    3천3백만원 이하 74만원
    3천3백만원 초과 7천만원 이하 74만원-[(총급여액-3천3백만원)×0.008] → (최저 66만원)
    7천만원 초과 66만원-[(총급여액-7천만원)×1/2] → (최저 50만원)

자녀 세액공제

  • 기본공제 대상 자녀 :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의 공제 대상 자녀로 7세이상의 사람에 대해서는 다음에 따른 금액을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합니다.
    • 자녀의 수
      자녀의 수
      1명
      2명
      3명 이상
    • 세액공제 금액
      세액공제 금액
      연 15만원
      연 30만원
      연 30만원+2명 초과하는 1명당 연 30만원

      * 3명:60만원, 4명:90만원, 5명:120만원

  • 출산·입양 공제대상 자녀 : 해당 과세기간에 출산하거나 입양 신고한 공제대상 자녀가 있는 경우 첫째 30만원, 둘째 50만원, 셋째 이상인 경우 연 70만원을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합니다.

연금계좌 세액공제

  •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연금계좌에 납입한 금액 중 다음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외한 금액을 해당 과세기간의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공제합니다.
    1. 1소득세가 원천징수되지 아니한 퇴직소득 등 과세가 이연된 소득
    2. 2연금계좌에서 다른 연금계좌로 계약을 이전함으로써 납입되는 금액

〈 총급여액별 공제 한도 및 공제비율 〉

총급여액별 공제 한도 및 공제비율 - 종합소득금액 (총급여액), 50세 미만 (퇴직연금 포함), 50세 이상 (퇴직연금 포함), 공제율 포함
종합소득금액 (총급여액) 50세 미만 (퇴직연금 포함) 50세 이상 (퇴직연금 포함) 공제율
4천만원 이하 (5.5천만원) 400만원 (700만원) 600만원 (900만원) 15%
1억원 이하 (1.2억원) 12%
1억원 초과 (1.2억원) 300만원 (700만원) 300만원 (700만원)
  • 연금저축계좌:금융회사 등과 체결한 계약에 따라 “연금저축”이라는 명칭으로 설정하는 계좌
  • 퇴직연금계좌: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른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DC형)와 개인형 퇴직연금제도(IRP), 중소기업 퇴직연금 또는 과학기술인공제회법에 따라 퇴직연금을 지급받기 위해 설정하는 계좌(확정기여형퇴직연금 사용자부담금은 제외)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의 계약기간이 만료되고 해당 계좌 잔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연금계좌로 납입한 경우 그 납입한 금액을 납입한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연금계좌 납입액에 포함 (전환금액의 10%, 300만원 한도로 세액공제 한도 확대*)

    * ISA전환금액 추가한도는 ISA 만기잔액을 연금계좌에 납입한 해만 적용

콘텐츠 만족도 조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